집이 건조할 때, 방 실내 습도 높이기 – 가습기 효과(실내 적정 습도)

0
19417

날씨가 추워지면 집의 습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가 건조해지면서 피부에 각질이 생기거나 가려워지고 면역력이 낮아지며 기관지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때문에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난방온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수록 실내 습도는 감소하기 때문에 보일러는 20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과거에는 방이 건조하면 빨래를 널어놓거나 물이나 음식을 끓여서 습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가습기를 통해서 손쉽게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2011년부터 지금까지도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폐 질환을 호소하고 있으며 생명을 잃은 사건 때문에 꺼려 하는 분들이 많다.

1. 적정습도

가습기
가습기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더욱 덥고 답답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습도가 낮아지면서 눈이나 코, 목 안쪽에 염증이 생긴다.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불쾌지수가 높아지는데 쾌적한 생활을 위해서는 실내 습도를 40~70%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40~5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온도와 습도

온도(℃)습도(%)
1570
18~2060
21~2350
24 이상40

기상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온도마다 쾌적함을 느끼는 습도에는 차이가 있으며 환기를 자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3. 가습기

겨울철에 환기를 자주 시키기도 어렵고 빨래를 말리는 것으로는 습도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어떤 제품을 구입하는 게 좋을까?

1) 초음파 진동식

초음파를 사용해서 물을 진동시키고 작게 쪼개는 방식으로 수증기가 아니라 아주 미세한 물방울이 섞여있는 공기, 쉽게 말해서 안개를 뿜어낸다고 볼 수 있다.

조용하면서 분무량이 풍부하고 전기세도 조금 나오는데 세균에 오염되기 쉽고 주변 가전제품에 들러붙는 백분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단점이 극명하게 갈린다.

위생적인 문제가 많기 때문에 매일 관리하지 못하면 추천하지 않는다.

2. 가열식

전기를 사용해서 물을 끓이고 수증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높은 온도로 물을 끓이기 때문에 공기를 따뜻하게 만들어 주면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위적으로 공기를 가습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물속에 녹아있는 광 물질을 방출하지 않아서 안전하기 때문에 고급 가습기에 주로 이용되고 겨울에 쓰기에도 적합하다.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 편으로 화상 위험, 소음 문제가 존재한다.

3. 자연 증발

물에 젖은 가습필터에 팬을 돌려서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기화식 가습기로 부르기도 하는데 물속에 있는 불순물이 공기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강에 해롭지 않다.

게다가 자연적으로 습도를 올리기 때문에 주변에 눅눅해지는 일이 없으며 내부 세척을 하기는 어렵지만 3개월마다 한 번씩 해주면 위생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고 본다.

다른 방식에 비해 가습량이 적고 소모품(필터) 교체 비용 발생할 수 있다.

4. 노즐식

분무기로 물을 뿌리면 매우 작은 물방울이 넓게 뿌려지는 것 같은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가습량이 높지만 분무량이 많기 때문에 일반 가정보다는 산업용으로 적합하다.

노즐식 가습기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이나 넓은 공간에서도 많이 쓰이며 빠르게 습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피부가 너무 건조한 분들은 집에서 쓰기도 한다.

노즐이 많으면 효과는 좋지만 가격이 비싸지고 바닥이 물바다가 된다.

4. 구입요령

위에서 설명하는 가습기 원리를 읽어보면 어느 정도 감이 올 텐데 구입할 때 어떤 기준을 두고 제품을 선택할지 알아보도록 하자.

세척관리비고
초음파매일쉬움이물질 방출
가열식1~2주어려움석회질 얼룩
증발식1~2주쉬움물냄새 발생

1) 구입가격도 중요하지만 유지에 필요한 비용도 계산해야 한다.

2) 주변 환경이나 사용할 공간에 맞는 가습량을 갖추고 있는지?

3) 자주 관리가 필요한 필요한 제품은 세척이 편리해야 좋다.

4)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소음이 크면 사용할 때 거부감이 든다.

5) 습도가 표시되고 원하는 수준을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

6) 공기 청정 기능처럼 다양한 옵션을 탑재하고 있는 제품도 있다.

7) 수분이 많이 발생하는 제품은 전자제품이나 콘센트를 주의하자.

8) 물통의 크기를 확인하고 얼마나 작동할 수 있는지 시간 체크

9) 어느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사용하면 리모컨이 있어야 좋다.

10) 제품을 관리할 수 있는 어플이 있으면 편리하게 쓸 수 있다.

방 안에 빨래를 널어놓거나 물을 끓이는 등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꾸준히 습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습기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겨울만 되면 목감기로 고생하는 분들의 경우 가습기를 사용하면 확실히 기관지가 좋아지면서 기침이 줄어들기 때문에 구입한 가격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초음파 진동식은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어렵고 가열식은 전기세 뿐만 아니라 소음 때문에 자연식을 선택했는데 여러모로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