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는 환절기가 찾아오면 감기 기운과 함께 두통을 달고 사는데 어머니께서도 머리가 아프기 때문에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 같다.
지금도 왼쪽과 오른쪽 귀 뒤쪽에 찌릿한 통증이 있어서 목덜미를 마사지하고 있는 중으로 이런 증상을 후두 신경통이라고 한다.
두통은 머리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지만 여러 신경이 모여있기 때문에 턱이나 목, 주변의 근육 문제로 발생할 수 있다.
근육이 뭉치면 귀 뒤쪽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평소 올바른 자세를 취하지 않거나 베개가 불편한 경우, 운동 부족을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번 시간에는 뒷머리 목 쪽에 통증이 있거나 귀 뒷부분, 혹은 관자놀이 쪽이 불편하신 분들을 위한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
1. 증상
- 뒷목 귀 뒷부분이 저리는 증상이 발생한다.
- 귀 뒤쪽이 찌릿하고 관자놀이 주변이 아프다.
- 무언가 날카로운 것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
- 통증이 발생하는 부분을 만지면 더 심해진다.
- 머리가 먹먹하고 멍해지는 기분이 든다.
- 감각이 둔해지고 잘 느껴지지 않는다.
- 머리가 아프면 통증이 눈 쪽으로 내려온다.
- 눈이 침침하고 잘 보이지 않는다.
2. 원인
뒷머리, 목, 귀 뒷부분에 통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후두 신경통으로 인한 것으로 근육의 긴장, 신경이 압박되는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의학적으로 신경의 압박, 염증, 손상, 종양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지만 뚜렷한 이유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1. 턱관절 장애
입을 벌리고 다물 때 움직이는 저작근에 문제가 생기면 주변의 신경, 혈관을 자극해서 귀 뒤쪽의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주로 턱관절의 문제로 저작근이 경직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통증이 오래 지속되면 문제가 없는 주변에 아픔이 느껴질 수 있다.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귀 앞쪽의 악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음식을 먹거나 하품을 하면 귀 뒤쪽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후두 신경통
머리의 뒷부분에 생기는 질환을 말하며 신경 압박되거나 손상, 염증으로 인해서 간헐적으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후두 신경통이 심한 경우 해당 부위를 만지면 바늘로 찌르거나 먹먹한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베개를 베고 눕지 못할 수 있다.
경추 단순 엑스레이 촬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신경의 손상으로 두통이 발생하기 때문에 약물치료, 증상이 심하면 수술로 절단하기도 한다.
3. 목빗근 부담
목의 얇은 층을 비슷하게 지나가는 두 갈래의 근육으로 개정 이전에는 흉쇄유돌근으로 불렸으며 머리를 움직일 때 자주 사용한다.
현대인들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하면서 목빗근을 혹사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해당 근육의 피로는 목덜미나 머리의 통증으로 느껴진다.
잘못된 자세로 컴퓨터를 하면 목이 구부정하게 앞으로 나오는 거북목으로 변하고 목빗근의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 꾸준한 스트레칭을 해주자.
4. 후두하근 긴장
뒤통수 아래쪽에서 머리를 받치고 있는 근육으로 머리와 목 어깨를 연결하기 때문에 불편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 후두하근이 뭉친다.
후두하근의 긴장으로 두통이 발생하면 뒤통수부터 시작해서 머리 측면, 눈 주변, 이마까지 통증이 번질 수 있다.
귀 뒤쪽을 손으로 만져보면 튀어나온 뼈를 느낄 수 있는데 안쪽에 들어간 곳, 말랑한 살 부분을 엄지로 마사지해주면 통증이 줄어든다.
4. 안면부 마비
멜마비, 구안와서로 불리는 안면마비는 뇌신경 7번에 종창으로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안면 마비가 찾아오면 말을 하기가 어렵고 침을 흘릴 뿐만 아니라 눈을 제대로 감기도 어려운데 얼굴에 통증은 없지만 머리가 아플 수 있다.
후유증이 남을 수 있으니 빠른 치료가 필요하며 증상이 비슷한 라임병과 혼동하지 않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5. 경추 관절염
뚜렷한 이유 없이 머리가 아픈 분들은 목관절의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추성 두통으로 인한 증상은 아닌지 의심할 필요가 있다.
경추성 두통은 머리 뒤쪽의 통증이 많으며 머리 왼쪽이나 오른쪽 옆부분을 콕콕 찌르거나 저린듯한 느낌이 나고 시력저하가 발생한다.
평소 목덜미가 뻐근하고 어지럼증을 느끼는 분들은 목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심한 경우 디스크 가능성이 존재하니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자.
6. 침샘 비대증
언제부터인가 귀 아래쪽에 살이 찌면서 눈에 띄게 턱살이 늘어나고 얼굴이 커 보이는 분들은 침샘 비대증을 의심할 수 있다.
침샘 비대증은 침을 분비하는 침샘관이 막혀서 생기는 질병으로 침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염증이 발생하여 귀 뒤쪽에 찌릿한 통증을 느낀다.
얼굴의 변화뿐만 아니라 입이 건조해지면서 목이 자주 마르고 뇌압이 상승하여 머리가 아프고 안압이 상승할 수 있다.
7. 이외

머리가 지끈지끈, 두통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감기, 소화불량, 음주, 스트레스, 수면장애, 정신적 충격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두통이 자주 발생하는 분들 중에서 건강이 좋지 않거나 지병을 가지고 있다면 어떤 문제가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다만 고질병이라는 말처럼 정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소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마스크로 인해 호흡이 어려워지면서 두통이 올 수 있으며 산소가 부족한 경우 환기를 자주 하면서 숨을 원활하게 쉬는 것이 좋다.
머리 전체가 아닌 귀 뒤쪽의 통증은 신경 보다는 대부분 근육, 관절의 문제로 발생하는 긴장성 두통인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