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 – 딸꾹질 자주 하는 아기 원인

0
6518

딸꾹질은 우리의 몸에 있는 횡격막이 자극을 받아서 갑자기 수축하고 몸속으로 들어오는 공기가 차단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전해진다.

예로부터 딸꾹질에 관련된 괴담이 많지만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좋아진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굳이 딸꾹질을 멈추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하지만 어린 아기들이 딸꾹질을 하면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은데 우려와는 다르게 딸꾹질을 괴로워하거나 힘들어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 졸일 필요가 없다.

다만 아기가 2분 이상 딸꾹질을 하면서 힘들어하면 호흡곤란으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체온을 조절해 주거나 따뜻한 물, 분유, 모유를 주는 것이 좋다.

1. 원인

신생아 딸꾹질
신생아 딸꾹질

딸꾹질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아직까지 정확하게 규명된 자료가 없지만 경험을 토대로 아기들이 어떤 상황에서 딸꾹질을 하는지 정리할 수 있다.

신생아 딸꾹질은 신경과 근육이 미숙하고 음식을 먹는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특별한 질환에 의한 것은 아니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

① 공기를 많이 마셔서

모유나 분유를 급하게 먹거나 불편한 자세로 있으면 공기를 많이 먹기 때문에 위가 팽창하면서 횡격막을 자극하여 딸꾹질이 발생할 수 있다.

② 과식으로 인하여

아기가 소화시킬 수 있는 용량보다 많은 음식을 먹으면 위가 부풀어 오른 상태가 오래 지속되어 횡격막을 자극하고 딸꾹질이 발생하게 된다.

③ 급격한 온도 변화

아기들은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갑자기 온도가 낮아지면 몸이 수축되면서 딸꾹질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모자나 포대기로 감싸준다.

④ 기저귀 교체

아기가 소변을 보면 기저귀가 흡수를 하면서 차가운 냉기를 보내기 때문에 체온이 낮아져서 딸꾹질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기저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도 문제가 된다.

너무 자주, 오랜 시간 딸꾹질을 하는 경우는 폐렴, 위장관 질환을 의심할 수 있으며 신경 문제로 인한 난치성 딸꾹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2. 멈추는 법

아기를 살펴보면서 괴로워하지 않으면 그대로 내버려 두어도 상관없지만 오랜 시간 지속되고 힘들어한다면 아래 방법을 시도해 보는 것을 권장한다.

① 모자를 씌운다.

체온의 대부분은 머리를 통해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모자를 씌워서 보온을 해주는 방법으로 겨울에는 딸꾹질이 아니더라도 체온 유지를 위해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② 기저귀를 갈아준다.

소변을 본 상태가 아니라면 전혀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기저귀를 교체하는 도중에 체온이 낮아져서 딸꾹질을 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

③ 따뜻한 물을 먹인다.

대부분의 아기들이 젖을 먹고 난 다음에 딸꾹질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따뜻한 물을 주거나 수유를 짧게 반복적으로 하면 딸꾹질을 멈추는 경우가 많다.

④ 수유 패턴을 파악

아기가 너무 급하게 먹으면 평소보다 많은 양을 먹거나 공기를 삼키기 때문에 너무 배가 고파지기 전에 수유를 하는 것이 좋다.

⑤ 등을 두들겨준다.

몸 안에 있는 공기를 빼내기 위해서 등을 살살 토닥이며 트림을 시켜주는 것이 좋지만 너무 강하게 하면 분유를 토해내거나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⑥ 양쪽 귀 자극하기

횡격막과 관련된 신경이 귀 주변에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아기 양쪽 귀에 살짝 넣어서 자극하면 딸꾹질을 멈추기도 한다.

⑦ 울리기

아기가 배가 불러서 따뜻한 물이나 수유를 거부하고 다른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발바닥을 자극해 울린 다음 달래주는 방법도 있지만 권장하지 않는다.

딸꾹질을 병적으로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딸꾹질을 하나보다 편하게 생각하는 것이 좋다.


신생아 시기에서 1년까지 아기들은 미성숙한 부분이 많아서 딸꾹질을 많이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잦아들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으시길 바라며 이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