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서 와 로써 쉽게 구분하기 – 사람으로서, 학생으로써 맞는 표현

써방저자라는 구분 방법이 있을 정도로 로서와 로써는 구분하기 어려운 단어로 유명한데 의미는 비슷하지만 사용하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으로서’ 와 ‘으로써’가 들어가야 하는 문장을 보고 무엇이 들어가야 하는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비슷한 두 단어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로서’와 ‘로써’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로서

한 가지 주의해야 할 내용은 ‘~로서’가 자격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람만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물에도 붙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로서 로써 쉽게 구분
로서 로써 쉽게 구분
  • 사람이나 사물이 지위나 자격을 가지고 있음
  • 어떠한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뜻함

예문

당신이 해온 일들은 사람으로서 상상도 할 수 없던 일이었다.

그동안 힘들었지만 지금 우리의 성공은 그의 말로서 시작되었다.

무명 시기를 이겨낸 그는 한국을 대표하는 가수로서 유명해졌다.

아들로서 부족함이 없는 형과는 다르게 한심한 모습만 보인다.

피사의 사탑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건물로서 관광지로 유명하다.

내가 시험공부를 도와줬으니 그 대가로서 햄버거 하나만 사줘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인 ‘현재’의 경우도 시간의 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자격을 의미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불가능한 일이다처럼 사용해야 합니다.

로써

명사와 결합되는 ‘~로써’는 과거 격식을 차리기 위해서 많이 사용했던 단어로 지금은 ‘써’를 제외한 ‘~로’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이 쓰이는 단어는 아닙니다.

  • 수단이나 방법의 뒤에 붙여서 사용하는 격 조사
  • 원료나 재료를 나타내는 격 조사로 쓰인다.
  • 시간을 셈하거나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

예문

회사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푸는 도구로써 드럼을 배우고 있다.

쉽게 화를 풀지 않았기 때문에 눈물로써 호소할 수밖에 없었다.

어제 입대했던 것 같은데 오늘로써 전역한지 20년이 지났다.

완전범죄로 생각했지만 이걸로써 진실이 밝혀지게 되었다.

둘째와 셋째의 집은 무너졌지만 첫째의 집은 벽돌로써 견고했다.

올해 5월 8일은 부모님의 20번째 어버이날로써 의미가 깊다.

예문을 보면서 왠지 자연스럽지 않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실텐데 요즘은 ‘어버이날로써’보다는 ‘어버이날로’처럼 써를 제외하고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외

명사의 뒤에는 대부분 ~로서가 붙고 동사의 명사형에는 ~로써를 사용하지만 예외적으로 둘 다 쓸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테러범이 인질을 보내줌으로서(써) 모든 협상은 종료됐다.

아버지와 대화함으로써(서) 부자의 관계가 많이 회복됐다.

‘보내줌’과 ‘대화함’은 (로서 : 어떤 동작이 시작됨 / 로써 : 수단과 방법)이 되기 때문


로서와 로써를 다른 단어로 변경하는 방법도 있지만 오히려 헷갈리게 만드는 경우가 많아서 자격을 설명할 때는 로서를 쓰고 방법을 말하는 상황에서는 로써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로서는 어떠한 자격을 나타낼 때 쓴다.
  • 로써는 방법을 뜻하는 말에 사용한다.

글만 읽으면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직접 쓰면서 연습하면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