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어법 예시 – 반어적 표현이란?

누군가 실수를 했을 때 타박하는 사람도 있지만 반대로 칭찬을 하면서 모순된 행동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반어법, 반어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무언가를 잘못한 사람에게 ‘참~ 잘했다’라고 말하면 대부분 위축되고 미안한 마음을 느끼지만 가끔은 반어법을 칭찬으로 인식해서 답답해지기도 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진심으로 칭찬을 해도 상대방이 반어법으로 받아들이는 경우 나를 비꼬는 것은 아닌가?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점이다.

어느 정도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반어법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지만 나이가 어린 친구들은 잘 모를 수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다양한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반어법

反語法 / Irony, Sarcasm

반어법
반어법

가수 GOD의 3집 앨범 거짓말에는 헤어지는 연인에게 반어법으로 말하는 가사가 등장한다. 잘 가(가지 마), 행복해(떠나지 마) 나를 잊어줘 잊고 살아가줘(나를 잊지 마)

사람들이 반어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본래의 뜻과 반대되는 표현을 통해 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인데 상황에 맞게 사용하지 않으면 서로 기분이 나빠질 수 있다.

기분이 나쁘다 < 기분 참 좋다
사기가 넘치는 중고나라 < 오늘도 평화로운 중고나라

반어법은 부정적인 측면, 긍정적인 측면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상으로는 칭찬을 하지만 비난을 할 수 있으며 표면상 비난을 하지만 칭찬하기도 한다.

그래서 반어법을 사용하면 딱딱했던 분위기가 풀리고 기분이 좋아질 수 있지만 반대로 분위기가 더 가라앉고 불편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2. 예시(부정적)

1. 영화가 재미없어서 만족하지 못할 때

  • 이 영화를 보고 암이 나았습니다 / 1점은 11점을 주고 싶은 마음입니다.

2. 잘난척하는 친구가 마음에 들지 않음

  • 그래 너 잘났다 네가 최고다. / 자랑이다 진짜

3. 말을 안 듣는 학생에게 선생님이

  • 더 시끄럽게 떠들어봐 / 그래 니가 하고 싶은 대로 해보렴

4. 직장 상사가 아래 직원에게

  • 지금 잘했다고 가져온 거지? / 실적을 보니 웃음만 나오네

5. 도움이 안 되는 충고를 들으면서

  • 다른 사람도 같이 들었으면 좋겠네요 / 참~ 고맙습니다.

6. 맛없는 음식을 먹으면서

  • 맛있긴 한데 나중에는 그냥 사먹자 / 이 요리 참 맛있다.

7. 매너 없는 사람을 보고

  • 생각이 깊네요 앞으로도 그렇게 사세요 / 아주 존경스럽습니다.

8. 여행을 갔는데 비가 오는 경우

  • 그냥 더 내려라 / 오랜만에 나왔는데 날씨 참 좋다.

3. 예시(긍정적)

1. 사랑스럽고 귀여운 애교를 보면서

  • 너무 미워 죽겠다 / 한대 때려주고 싶다.

2. 농구 경기에서 승리한 다음 가장 잘한 친구에게

  • 오늘 보니까 연습 좀 해야겠다 / 이번 시합은 너 때문에 질뻔했다.

3. 외모가 뛰어난 친구에게

  • 너 진짜 못생겼다니까 / 못난아 뭐 하니?

4. 힘든 훈련을 받는 도중에

  • 거의 다 왔으니까 조금만 힘내자 / 참지 못하면 즐기는 거야!

5. 뛰어난 실력을 갖춘 신입을 보며

  • 너보다 잘하는 사람은 많아 / 아직 부족하니까 겸손해야 해

6. 시험을 잘 본 친구들 특징

  • 하루 종일 자서 공부 못했다. / 이번 시험은 망친 것 같아

7. 무언가 도와주면서 하는 이야기

  • 딱히 니가 걱정되서 그런 건 아니야 / 이번만 도와준다.

8. 항상 승리하는 팀이 경기를 하면서

이제 질 때가 된 것 같은데 / 한 번쯤은 져도 괜찮을 것 같다.


반어법은 의도와 상관없이 상대방의 기분을 나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알맞은 표현과 말투를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간혹 반어법인지 모르거나 기분이 나쁘다고 적반하장으로 나오는 사람이 있는데 그런 경우는 직설적으로 말하는 것이 본인의 정신 건강에 좋을지도 모릅니다.

1 thought on “반어법 예시 – 반어적 표현이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