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의 장난? 수면마비 증상 – 가위눌림 원인과 이유 가위 안 눌리는 방법

0
6418

잠을 자면서 정신은 깨어있지만 몸이 잠들어있는 상태를 의학적으로 수면마비라고 말하는데 이 상태에서 무서운 꿈을 꾸지만 바로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를 가위에 눌렸다고 말한다.

가위에 눌려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누군가 내 위에 올라와 있거나 속삭이는 기분이 들고 현실적인 꿈(환각)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귀신이나 심령현상으로 관련짓기도 한다.

그렇다면 수면마비 증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가위에 안 눌리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증상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몸이 아파서 피곤하면 가위에 눌릴 것이라고 예상하는 경우가 많은데 잠들기 전 환청이나 온몸을 압박하는 듯한 기분 나쁜 느낌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잠이 들면 높은 확률로 가위에 눌려서 한동안 고생하지만 억지로 몸을 움직이려고 노력하면 가위눌림을 피하고 무사히 잠드는 것이 가능하다.

수면마비  가위눌림 원인
수면마비 가위눌림 원인

1. 눈을 뜨고 주변 환경을 볼 수 있지만 말이 안 나오고 몸을 움직일 수 없어서 괴로워하는데 자신이 깨어있는 상태라고 생각하지만 그 상황 자체가 꿈일 가능성이 높다.

2. 가위에 눌려서 눈을 떴지만 피로가 몰려오면서 잠이 들고 다시 가위에 눌리는 상황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는데 무서운 사실은 잠에서 깨고 다시 잠이 드는 상황도 꿈이라는 점이다.

3. 심장이 빠르게 뒤고 지지직거리는 라디오 잡음 같은 기분 나쁜 소리가 나는데 머릿속에서 실타래가 엉키듯 정신없는 기분이 들면서 누군가 나를 미친 듯이 흔드는 것 같다.

4. 무언가 형체가 있는 물체가 내 주변에 움직이는 것 같고 혼자서 자고 있지만 누군가 있는 것 같은 느낌 때문에 무서워서 잠에서 깬 다음 일어나지 못하고 이불을 뒤집어쓴다.

원인

  • 몸이 아프거나 스트레스를 받아서 정신, 육체적으로 지친 상황
  •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다가 과도한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경우
  • 여행이나 이동을 하면서 몸은 힘들지만 뇌가 흥분해 있는 상태

렘수면은 급속 안구 운동 수면을 뜻하는 단어로 사람의 몸은 자고 있지만 뇌가 깨어있는 상태로 눈동자가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호흡과 심장박동이 증가하게 된다.

렘수면은 우리가 잠을 자면서 평균적으로 4~6회 발생하는데 총 수면 시간의 20% 수준이기 때문에 잠을 8시간 정도 잔다면 약 90~120분 정도 렘수면을 취한다고 보면 된다.

이 상태에서 우리는 호흡을 멈추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숨이 막혀서 불편한 기분이 들거나 손이나 다리를 움직이는 감각을 느끼기 때문에 꿈속에서 환각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탈출

가위눌림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정면을 바라보지 않고 몸을 구부려서 옆으로 눕는 것으로 몸에 긴장을 풀어서 숙면을 유도하는 것도 좋다.

1. 타이밍 맞추기

악몽을 자주 꾸는 사람은 가위에 눌리기 직전의 느낌을 잘 알고 있는데 이 타이밍에 눈이나 온몸에 힘을 주면 깨어날 수 있지만 실패하는 경우 어쩔 수 없이 가위에 눌려야 한다.

2. 온몸에 힘주기

일단 손이나 발끝에 힘을 줘서 움직이려고 노력하고 점사 범위를 늘려서 온몸을 움직이는 방법으로 잘못하면 다리에 쥐가 나서 엄청난 고통을 느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3. 안정 취하기

가위에 눌러서 잠에서 깬 경우 많은 분들이 피곤함을 이기지 못하고 다시 눈을 감지만 다시 가위에 눌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방에 불을 켜고 잠시 안정을 취한 다음 자는 게 좋다.

4. 입 움직이기

가위에 눌리면 말이 안 나오기 때문에 입도 움직이지 않지만 의외로 혓바닥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서 혀를 움직이고 입이 풀어지면 음식을 씹듯이 치아를 부딪혀 줘서 탈출할 수 있다.


수면 무호흡증이나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들이 가위에 자주 눌린다고 하는데 글쓴이도 몸이 안 좋으면 가위에 눌리는 경우가 많지만 자주 경험하다 보니 이제는 타이밍을 맞춰서 눈이나 몸에 힘을 주는 방법으로 쉽게 빠져나오고 다시 잠드는 경우가 많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