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일본의 역사적인 관계는 좋지 않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서로 의존하는 부분이 많다. 그 이유는 경제적으로 순망치한의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나이를 먹으면 무릎의 관절이 닳아 없어지고 시력이 점점 나빠지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노화가 진행되면서 건강이 나빠지는 현상도 순망치한으로 비유할 수 있다.
흔히 어려운 상황에서 포기하지 말라는 뜻으로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버티라는 이야기를 하고 순망치한을 비슷한 의미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반대 의미를 가진다.
- 동의어 : 순치지국(脣齒之國), 순치보거(脣齒輔車)
- 유의어 : 조지양익(鳥之兩翼), 거지양륜(車之兩輪)
유머 사이트를 통해서 순간 망치로 한대 칠뻔했네라는 의미로 알고 계신 분들이 계시는데 이번 시간에는 순망치한의 뜻과 유래,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개요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이 망하거나 사라지면 다른 한쪽도 불행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脣 : 입술 순
亡 : 잃을 망
齒 : 이 치
寒 : 찰 한
유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희공 5년 조를 보면 순망치한의 유래가 등장한다.
당시 진나라의 헌공은 괵나라를 공격하기 위한 준비를 마치고 공격을 하려면 우나라를 지나야 했기 때문에 우공에게 길을 그냥 지나게 해달라고 서신을 보낸다.
이에 약소국이었던 우나라 왕은 헌공의 부탁을 들어줘야 할지 고민을 하는데 신하인 궁지기(宮之奇)는 괵이 없어지면 칼끝이 우리를 향할 것이라고 말한다.
輔車相衣(보차상의) : 곽나라와 우나라는 서로 도와서 의지하는 관계에 있다.
脣亡齒寒(순망치한) : 곽나라가 없어지면 입술이 없어지는 것과 같다.
괵나라는 우나라를 지키는 담장과 같기 때문에 괵이 망하면 우리도 함께 망할 것이라고 말하지만 진나라에서 바친 보물과 명마에 눈이 먼 우나라 군주는 길을 터주게 된다.
이에 궁지기는 우나라는 올해를 넘기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가족과 함께 도망친다.
假途滅虢(가도멸괵) : 헌공이 길을 빌려서 괵나라를 멸하였다.
진나라의 헌공은 괵나라를 멸망시켰으며 궁지기가 예언한 내용처럼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도 공격해서 멸망시킨 다음 선물로 줬던 보물과 명마를 회수했다.
모든 것을 빼앗긴 우왕은 진나라 외곽에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으며 죽을 때까지 궁지기와 백리해의 충언을 듣지 않았던 것을 후회한다.
2. 예문
순망치한이라는 말처럼 부모가 없는 아이들은 고생을 한다.
바로 옆 나라에 전쟁이 발생하면 순망치한을 걱정하게 된다.
수비와 공격수는 순망치한처럼 서로 의지하고 보완을 해준다.
한국과 일본의 사이는 나쁘지만 경제적으로 순망치한의 관계다.
손상된 무릎 관절을 방치하면 순망치한 관절염으로 이어진다.
북한은 순망치한 핵이 없으면 나라가 망한다는 생각을 한다.
공산주의 체제 북한의 존재는 중국에 순망치한이 될 수 있다.
서로 함께하면 기분이 좋고 도움이 되는 순망치한 관계를 유지하면 좋겠지만 어쩔 수 없이 적정선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어려운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가족뿐만 아니라 내 주변에 순망치한 같은 존재가 무엇이 있는지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