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시력은 태어날 당시 0으로 시작해서 민감기를 거치고 6~7살 정도가 되면 정상 수치인 1.0 수준이 되기 때문에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 사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 최소 3회 정도는 안과에 방문해서 문제가 없는지 검진을 받고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는 사물을 보기 위해서 빛과 굴절 작용을 거치게 되는데 각막과 수정체에 이상이 생기면 시력이 1.0 이하로 떨어지며 근시, 난시, 원시, 노안이 발생하게 됩니다.
나빠지는 이유
시력이 나빠지는 이유는 선천적, 후천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전자기기가 발달하면서 눈이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도 시력이 나쁜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가 안경을 쓰고 있다면 자녀의 시력도 나쁜 경우가 많고 시력이 잘 나빠지는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똑같은 패턴으로 생활해도 남들보다 시력이 빠르게 감소하기도 합니다.
시력은 한번 나빠지면 복구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컨디션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고 전자기기 사용을 줄이면서 야외활동을 통해 먼 곳을 자주 보면 시력이 조금은 회복됩니다.

근시
근시는 가까이 있는 물체는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것은 잘 안 보이는 현상으로 정상적인 형태라면 망막에 맺혀야 하는 상이 그보다 앞에 맺히기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
근시의 경우 생활 습관도 중요하지만 안구의 앞뒤 길이가 길어서 망막 초점을 잡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전적인 이유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책을 지나치게 가까이서 읽거나 스마트폰 같은 전자기기를 오랜 시간하면 멀리 있는 사물이 잘 안 보이는 가성근시가 발생하는데 먼 곳을 보거나 눈을 쉬게 해주면 금방 좋아집니다.
예방
7~8살에 시력이 1.0 미만이라면 선천적 근시일 가능성이 높고 대부분 성장기에 급격히 시력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은데 멀리 보는 습관을 들이는 게 도움이 됩니다.
멀리 보는 게 좋은 이유는 가까운 곳만 보다가 멀리 보면 망막과 홍채가 그에 맞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주변 환경을 어둡지 않고 밝게 유지하는 것도 좋습니다.
난시
난시는 각막과 수정체로 들어오는 빛의 굴절 이상으로 주변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여러개로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지만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
난시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족력이나 친척 중에서 난시 환자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난시가 있는 사람들의 각막이나 수정체는 비정상적인 형태를 하고 있는데 정상적인 사람의 각막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다면 난시의 경우 길쭉한 형태를 하고 있어서 굴절이 발생합니다.
예방
유전적인 비중이 높기 때문에 예방은 불가능하며 시간이 지나면 사물의 굴절 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시력 검사를 통해 1년에 1회 정도 안경 렌즈를 변경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10대 중반을 넘기면 이런 현상이 줄어드는데 만약 난시가 심해서 시력이 0.8 미만으로 떨어지면 시력교정 수술을 해도 큰 효과를 볼 수 없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원시
근시와 반대로 안구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망막에 맺혀야 할 상이 뒤쪽에 맺히기 때문에 멀리는 잘 보이지만 가까운 곳은 안 보이는 경우가 많고 증상이 심하면 먼 곳도 잘 보지 못합니다.
원인
안구의 길이가 짧거나 수정체가 얇으면 발생하는데 노안이 발생하는 40대 장년층에서 많이 보이고 어린아이들은 원시가 있어도 성장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없어지게 됩니다.
모든 시력에 관련된 문제가 그렇듯 원시도 유전적인 요인에 기인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까운 물체가 잘 안 보이는 원시라면 가족이나 친척들도 원시인 사람이 많습니다.
예방
거의 모든 사람들이 어린 시절 안구의 길이가 짧아서 원시를 겪게 되지만 성장 과정에서 안구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원시 현상이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됩니다. (너무 길어지면 근시 발생)
원시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중앙이 두꺼운 볼록 렌즈를 착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안경을 쓰지 않아도 돼지만 눈이 피로해진다면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너스 시력
가끔 안경을 낀 친구들에게 시력을 물어보면 마이너스라고 답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을 0이라고 하기 때문에 ‘마이너스 시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안경의 렌즈 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디옵터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볼록 렌즈는 (+), 오목 렌즈에서는 (-)를 붙여서 표기하기 때문에 이런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인생을 살면서 교육을 받거나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서 눈은 상당히 중요한 존재지만 많은 분들이 혹사시키고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쓴이도 최근 들어 시력이 나빠지고 있는데 앞으로 컴퓨터를 하면서 1시간에 한 번씩은 일정 시간 먼 곳을 바라보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