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전인수(我田引水) 뜻과 유래 – 수석침류, 견강부회

0
3931

인생을 살다 보면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고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주변에 피해를 주면서 본인의 이익만 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사용하는 말이 아전인수(我田引水)로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는 사람을 비꼬는 것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이외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 해석한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모습을 보고 아전인수 격이라고 해석한다.

비슷한 단어

수석침류(漱石枕流) :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억지로 옳다고 한다.
견강부회(牽强附會) : 말도 안 되는 주장을 자기합리화 시키며 옳다고 우김
추주어륙(推舟於陸) : 고집을 부리며 무리하게 일을 추진하려고 하는 성질
궤변(詭辯) : 상대를 이기기 위해 거짓을 늘어놓는 행위

반대말 :

역지사지(易地思之) :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한다.

1. 아전인수

  • 我 : 나 아
  • 田 : 밭 전
  • 引 : 끌 인
  • 水 : 물 수

자기 논에만 물을 끌어넣는다.

draw water to one’s mill

지금처럼 기술이 발전하기 전에는 농사를 지을 때 논둑에 빗물을 모아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했는데 가뭄이 오면 몰래 자신의 논에만 끌어쓰는 사람들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지형적으로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서 물을 끌어써야 했기 때문에 혼자서만 물을 쓰려는 아둔한 사람을 보고 아전인수라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아전인수는 자신의 이익만 추구하거나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을 하지 않으려는 이기적인 사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2. 예시

그들은 아전인수 격으로 서로가 다른 생각을 펼치고 있다.

불리할 때만 원칙을 따지는 그를 보니 아전인수가 떠오른다.

여야는 매번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하여 주장한다.

아전인수식 계산을 하면서 친환경을 주장하고 있다.

판매량을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하여 소비자를 기만하는 중이다.

내가 아전인수식으로 판단하고 있는지 다른 사람한테 물어봐

전쟁은 아전인수식 해석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는 아전인수의 대표적인 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말을 바꾸며 아전인수적인 모습을 보였다.

나의 믿음만 옳다고 생각하는 아전인수격 종교가 많다.


아전인수는 자신에게만 유리한 말과 행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내가 듣거나 주변 사람에게 사용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