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를 받으면 죽어서도 잊지 못한다는 의미로 결초보은(結草報恩)이라는 사자성어를 사용하는데 각골난망(刻骨難忘), 백골난망(白骨難忘)도 비슷한 의미로 가지고 있다.
위에서 이야기한 고사성어의 뜻이 비슷한 이유는 모두 결초보은에서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결초보은의 뜻과 숨겨진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결초보은(結草報恩)
춘추좌씨전이라는 고사성어 선공 15년 기록에는 결초보은이라는 단어가 주석에 등장한다.
춘추시대 진(晉)의 대신으로 있었던 위무자는 나이가 들어서 나이가 젊은 후처를 맞았으며 그녀를 많이 아끼고 사랑을 나눴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다.
어느날 위무자는 큰 병에 걸렸는데 시간이 지나도 상태가 좋아지지 않았다. 자신이 오래 살지 못할 거라는 것을 깨달은 그는 본처의 아들 위도자를 불러서 부탁을 한다.
나중에 맞이한 후처의 나이가 젊고 자식이 없기 때문에 친정으로 돌려보내서 개가 시키라는 내용이었는데 병이 깊어지자 내가 죽으면 첩도 함께 묻어달라고 유언을 남긴다.
얼마 못 가서 위무자는 숨을 거두고 말았고 그의 아들은 처음에는 친정으로 보내라고 했다가 다시 자신과 함께 순장 시키라는 아버지의 유언 때문에 난감한 상황에 빠지게 된다.
한참을 고민하던 위도자는 후처를 살려주기로 결심하고 아버지가 처음 부탁했던 것처럼 새어머니를 친정으로 보내고 다른 곳으로 시집 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버지의 후처가 자신을 살려준 이유를 묻자 위도자는 병이 깊어지면서 아버지의 판단력이 흐려졌기 때문에 그나마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었던 처음 유언을 따른 것이라고 답변했다.
시간이 흘러 진(秦)나라의 군대가 쳐들어오자 위도자는 군사를 이끌고 전쟁터에 나가게 되었는데 두회라는 장수의 용맹함과 수적 열세로 인해서 위태로운 상황에 빠지게 된다.
위도자는 퇴각을 하면서 싸우는 형세가 되었는데 갑자기 적장인 두회가 타고 있던 말이 고꾸라지면서 큰 부상을 당하고 위도자는 재빨리 두회를 사로잡아 큰 공을 세우게 되었다.

그날 밤 깊은 잠에 빠진 위도자의 꿈에 한 노인이 등장하는데 그는 아버지 후처의 친정아버지로 자신의 딸을 순장하지 않고 살려 보내줘서 감사하다는 이야기를 남긴다.
딸의 재혼을 도와준 것을 보답하기 위해 혼령이 되어서도 청초파로 적장 두회를 유인하고 그가 올만한 길목에 풀을 묶어서 적을 쫓아오지 못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결초보은! 위도자는 아버지의 처음 유언을 받아들여 후처에게 은혜를 베풀었으며 그녀의 친정아버지는 죽어서도 고마운 마음을 잊지 못하고 풀을 묶어서 은혜를 갚았다.
위도자가 도망치는데 어떤 노인이 근처 풀을 빠르게 묵어서 적을 추격하지 못하게 막았다는 이야기도 전해내려오고 있다.
각골난망(刻骨難忘)
은혜를 받아서 고마운 마음을 뼈에 새겨서 잊지 않는다.
백골난망(白骨難忘)
자신이 죽어 백골이 되어도 은혜를 잊을 수 없다.
반대되는 사자성어는 배은망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