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응애(진드기) – 빨간색 벌레 다카라다니 퇴치하기

꽃 피는 계절이 오면 건물 외벽에 작은 벌레들이 많이 보이는데 그중에서도 빨간색 응애(진드기) 같은 녀석들을 볼 수 있다.

레드 버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은 다카라다니(Balaustium mutotum, タカラダニ)로 장마 직전에 많이 생겼다가 장마가 시작되면 사라진다.

진드기는 사람의 피를 흡혈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다카라다니의 경우 사람에게 해를 입히지는 않는다.

다카라다니는 색깔이 빨간색이기 때문에 손으로 눌러 죽이면 빨간색 즙이 피처럼 나오지만 식물의 꽃가루나 벽에 붙어있는 염분을 먹으며 살아간다.

그리고 햇빛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늘진 곳을 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옥상처럼 양지바른 곳에 가면 많이 볼 수 있다.

1. 특징

빨간색 진드기
빨간색 진드기

다카라다니는 유럽과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유입된 거미강 진드기목 응애과 동물로 온몸이 빨간색이며 다리 9개 길이는 1mm 수준이다.

해당 벌레는 사람을 물지는 않지만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새들의 둥지, 일부 곤충의 몸에 기생하기도 한다.

다카라다니는 번식력이 강한 편으로 장마가 오기 전에 급속도로 늘어나는데 햇빛을 좋아하고 꽃가루와 염분을 먹고 산다.

그래서 4월 ~ 6월까지 담벼락, 건물 외벽, 옥상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물에 닿으면 금방 죽기 때문에 장마철 이후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하지만 뛰어난 번식력으로 장마가 오기 전에 유기물이 쌓이기 쉬운 건물 틈새 같은 곳에 알을 낳아두기 때문에 이듬해 같은 시기에 찾아볼 수 있다.

2. 퇴치

다카라다니 성충은 장마철이 되면 대부분 사라질 정도로 생존력이 강한 벌레는 아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일단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방충망을 보수하여 진드기의 침입을 막아놓고 벌레가 있는 부분에 물이나 살충제를 뿌리는 것만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살충제에 민감해서 자주 보이는 곳, 벽 외부에 살충제를 자주 뿌려주면 벌레가 접근하지 못한다.

다카라다니가 유입된 일본에서도 몇 년 전부터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는데 주변에 벌레가 살기 좋은 환경이라면 완벽하게 퇴치는 어렵다고 본다.

그늘진 곳을 싫어하기 때문에 밤이 되면 외벽에 붙어있던 녀석들이 집으로 침입할 수 있으니 들어오지 못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응애, 진드기, 작은 거미처럼 생긴 빨간 벌레는 다카라다니인 경우가 많으며 사람을 물지 않기 때문에 물리면 병에 걸리지 않는지?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드물게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며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외관상 좋은 모습은 아니기 때문에 퇴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눈에 보이는 벌레는 죽이고 외부에 붙어있는 녀석들은 물을 뿌리거나 보행 해충용 에어졸, 진드기 살충제 등을 주기적으로 뿌리는 것이 좋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