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 후 마음 정리 – 실연의 아픔 이별 후유증 극복하기

0
17032

이별 / 離別 / Parting

우리는 살면서 많은 이별을 경험한다. 그중에서 사랑하는 연인과 헤어지는 것은 큰 상처를 남기지만 사랑과 이별을 거듭할수록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을 성숙하게 만들어 준다.

모든 이별은 고통스럽고 한번 입 밖으로 꺼내면 믿음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으며 아무리 생각해도 이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을 때 이야기해야 한다.

때문에 상대방의 일방적인 선택으로 이별을 맞이하는 분들은 울면서 매달리거나 바로 승낙하기보다는 권태기 증상일 수 있으니 잠시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게 좋다.

짧게 생각하면 Sad Ending이지만 happy ending을 위한 이벤트일 뿐이다.

1. 이별은 슬프다.

흔히 남자는 이별하는 방법을 모르고 여자는 이별할 때를 모른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성인은 어떤 시점에 이별을 말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이별
이별

이 사람과는 행복한 미래는 어렵겠다. 결혼까지는 아닌 것 같다고 생각하는 시점에 이별을 고민하기 때문에 미안한 감정 때문에 만남을 유지할 필요는 없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합리화를 위해 더 사랑하기 전에 헤어진다는 말을 하지만 상대방의 마음이 떠난 것을 인지하고 이야기하는 사람에게 어울리는 슬픈 말이라고 생각한다.

미래를 함께할 생각이 없어지면 사랑하는 마음도 식기 마련인데 이 상황에서 헤어지자는 말을 안 하고 조금씩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이별을 통보하는 것보다 잔인하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은 누구도 적응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연인 사이에서 마음이 변하고 사랑이 식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기 때문에 겸허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많은 분들이 실연당하는 쪽은 일방적으로 이별을 통보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자존심은 상하지만 이 상황을 슬퍼할지 그대로 받아들일지 선택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실연을 당하면 부모님이 돌아가실 때와 맞먹는 상처를 받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그리움과 배신감이 공존하지만 슬픔의 감정을 삭히는 것이 좋다.

시간은 생각보다 빠르게 흘러가고 마음을 무뎌지게 만든다.

2. 재회는 아프다.

가장 아름답게 이별하는 것은 상대방이 나에게 남겨준 추억을 감사하게 생각하고 깔끔하게 털어버리는 것인데 최악으로 생각되는 기억이 없다면 다시 재회를 꿈꾸게 된다.

처음 만날 때 설레는 감정과 고마웠던 일들, 나에게 배려해 주던 모습이 생각나서 미안한 마음에 눈물을 흘릴지도 모른다.

SNS를 통해서 소식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구차한 질투와 미련을 갖기도 한다.

이런 감정은 다른 사람을 만나서 연애를 하면 점차 잊혀지게 되는데 상처를 지우지 못하거나 연애에 소질이 없어서 혼자 지내는 분들은 과거에 머물면서 예전 사랑을 그리워한다.

그렇다면 헤어진 남녀가 다시 재회하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까?

생각한 것과 다르게 허전한 마음을 채울 수 없어서 공허한 감정을 느낄 확률이 높으며 쉽게 이별을 말하기 때문에 전보다 많은 노력과 희생이 필요하다.

새로운 연인을 만나면서도 육체적인 관계나 정신적인 교감에 대한 아쉬움을 느끼는 분들은 그전에 사귀던 사람과 비교하며 재회를 꿈꾸기도 한다.

육체적인 외로움, 욕망에 의한 그리움은 금방 바닥을 들어낸다.

3. 이별 극복하기

성격에 따라서 헤어지자고 말한 사람이 더 고통을 받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실연을 당한 사람이 더 상처를 받기 마련인데 한동안 왜?라는 물음표가 따라다니게 된다.

이별을 받아들일 수 없는 분들은 헤어진 이유를 찾으려고 하는데 그 사람이 나와 잡고 있었던 손을 놓았다는 자체를 받아들이면 정신적으로 자유로워진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그 사람이 나와 이별하길 바랬다는 점이다. 헤어진 이유에 대한 정답은 없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의문을 보다는 그의 결정을 받아들여야 한다.

사실 헤어진 다음에 억지로 슬픔을 참기보다는 그리워하는 마음과 미움을 표출해도 좋은데 그 감정을 이야기할 사람이 없기 때문에 힘이 빠지고 우울해지기 쉽다.

이별한 사람과의 기억은 처음에는 아픔으로 다가와도 나중에는 좋은 추억으로 남는다. 하지만 너무 견디기 어렵고 자존감이 낮아지는 분들은 아래와 같이 극복해 보자.

  1. 내가 왜 싫어졌을까? 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2. 나를 힘들게 만드는 감정을 빠짐없이 기록한다.
  3. 그 사람과 헤어지고 싶었던 일이나 감정을 쓴다.
  4. 내가 쓴 글을 천천히 읽고 기억에서 지워버린다.

연애는 끝났고 나의 시간은 지금 흐르고 있다. 과거에 머물면 나쁜 일은 그랬으면 좋았을 텐데 아쉬움이 남지만 미래를 생각하면 그때는 그랬었지 추억으로 웃어넘길 수 있다.

사람에 따라서 이별을 극복하는 방법과 기간은 다르다.


누구에게나 자신에게 어울리는 인연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이 슬프고 죽을 것 같지만 당연한 순리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두 남녀가 헤어지는 것은 서로 인연이 아니라는 것이기 때문에 헤어짐에 슬퍼하지 말고 미래에 만날 인연을 위해 시련의 아픔을 잘 이겨내고 성숙해 지길 바랍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