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운성 장생(長生) – 보호 본능을 자극하는 사주

0
16648

바둑에서 장생(長生)은 같은 형태가 반복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용어로 행운을 상징하기 때문에 대국을 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가져다준다는 속설이 존재한다.

천간이 지지를 만났을 때 기운을 보는 십이운성(十二運星)에서 장생은 갓 태어난 아기를 의미하기 때문에 순수함을 가지고 있는 힘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장생의 기운을 일주로 풀이하면 보호를 받는 힘으로 부모님의 보살핌을 받고 배우자 복이 있기 때문에 화목한 가정을 꾸릴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장생을 가진 사람들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을까?

1. 개요

십이운성 장생
십이운성 장생

모든 사람은 어머니 뱃속에 잉태되어 있다가 밖으로 나온다. 십이운성의 장생은 삶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세상에 태어나는 희열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고전의 기록과 명리학자들의 해석에 따르면 장생은 12운성 중에서 최고로 좋은 기운을 가지고 인생의 즐거움과 행복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장생은 처음 태어나서 자라는 단계를 의미하기 때문에 순수하고 호기심이 많은 편으로 무언가 시작하고 성취하려는 힘이 강하며 빠른 성장을 보여준다.

게다가 남을 속이지 않고 규범을 지키려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호감을 사고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

본인을 지키려는 힘이 강해지면 남을 위한 이타심보다는 맹목적으로 자신의 성장만을 생각하는 이기심이 많아질 수 있다.

2. 주변

장생은 이제 막 태어난 신생아의 기운으로 부모의 보살핌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도 보호하려는 마음이 생기기 때문에 천우신조의 기운이 강해진다.

무난한 대인관계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덕을 보기 때문에 화목한 가정을 꾸릴 수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의 은덕을 받기 때문에 효자, 효녀가 많다.

이런 모습은 일지가 장생일 때 주로 보이게 되며 유약함과 결단력이 부족할 수 있으나 욕심이 없고 처신을 잘하기 때문에 주변의 인정을 받고 대성하는 경우도 있다.

장생의 기운이 강한 사람의 주변에는 도움을 주려는 귀인이 많기 때문에 무언가 빠르게 일을 처리하기보다는 꾸준히 길게 노력하는 것이 좋다.

병, 태, 쇠, 관대의 흐름과는 기운이 상극으로 대립하기 때문에 선의의 경쟁이라면 좋지만 나의 발목을 잡고 피곤하게 만들 수 있다.

3. 성격

장생은 감수성이 풍부하고 예민한 성격으로 섬세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활동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어린 아기는 주변 사람들을 따라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쁜 감정을 느끼지 않지만 어른이 애 같은 행동을 한다면 인상을 찌푸릴 수 있다.

때문에 천진난만하고 순수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좋지만 가벼워 보이는 언행 때문에 적을 만들 수 있으니 본인의 위치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생은 새로운 무언가를 끝없이 배우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점진적 발전을 보여주며 출세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무리 좋은 모습을 보여줘도 궁합이 안 맞는 사람이 존재하기 때문에 나에게 호전적인 사람의 기분을 억지로 맞춰줄 필요는 없다.

4. 직업

장생은 꾸준한 발전을 지향하고 주변의 도움을 받기 때문에 크게 성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통솔력의 부족으로 누군가를 앞에서 끌고 가는 역할은 어려워한다.

권력에 대한 욕심도 없어서 1인자보다는 2인자의 위치에 있을 때 빛을 발하며 큰 기업의 회장을 보좌하는 비서나 꾸준히 기술을 배워야 하는 직업을 갖는 것이 좋다.

장생은 십이신살로 지살(地殺)이며 길성이기 때문에 이동성이 강해서 영업같이 활동적인 직업을 가지면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돈과 명예에 대한 욕심이 크지 않기 때문에 사업을 하거나 정치에는 어울리지 않지만 길운을 가지고 있으니 참고 견뎌내면 높은 위치에 도달할지도 모른다.

다른 사람들과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처신을 잘하고 주변을 즐겁게 해주기 때문에 어떤 직업을 갖든 무난한 모습을 보여준다.

5. 궁합

아래 내용은 기본적으로 장생을 기준으로 판단한 내용으로 사주 구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참고만 하거나 재미로 보시길 바랍니다.

  • 목욕(沐浴) : 오행은 같고 음양이 틀려서 궁합이 가장 좋다.
  • 건록(建祿) : 어려운 상황에서 나를 도와주는 멘토와 같은 존재
  • 제왕(帝王) : 강력한 힘으로 나를 이끌어 주기 때문에 도움을 받는다.
  • 묘(墓) :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늪에 빠진 것처럼 벗어나기 어렵다.
  • 양(養) : 나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지만 피곤하게 만들 수 있다.

병(病), 태(胎), 쇠(衰), 관대(冠帶)의 흐름과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을 때 충돌이 발생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다.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나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순수하고 착한 사람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아서 장생의 풀이도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장생이 많은 분들은 도움을 받는 것도 좋지만 의존적인 성격이 될 수 있으며 무언가 대가를 바라고 접근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처신을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