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림 세계관 정파 – 구파일방 (9파 1방)

0
14041

무협지를 읽다 보면 서로 대립하고 있는 세력이 존재하는데 기본적으로 정부에서 공인받고 선으로 여겨지는 정파, 바르지 못한 길을 걸으며 사악한 무공을 쓰는 사파가 있다.

그리고 마신을 숭배하면서 민간인을 학살하고 금지된 무공을 배우는 마교가 등장하기도 하는데 정파와 사파가 함께 힘을 합쳐 물리치기도 한다.

과거의 무협소설에서는 정파라고 하면 소림사, 무당파, 화산파 등 실제 존재하는 문파들이 많이 등장했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오대세가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정파에 해당하는 세력은 어떤 곳들이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구파일방에 속하는 문파와 이외 명문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구파일방

중국, 한국 무협소설에 기본으로 등장하는 조직을 말하기 때문에 무협소설을 좋아하지 않는 분들도 알만한 문파들이 속해있다.

정파
정파

① 소림사 – 역근경

발타선사가 창건하고 하남성에 본진을 두고 있는 문파로 머리가 없는 사람이 무술을 사용하면 대부분 소림사 스님이라고 할 정도로 유명하다.

② 무당파 – 태극검법

중국 호북성에 자리를 잡은 무당파는 태극권과 검법의 달인으로 알려진 장삼봉이 만든 문파로 겉은 부드럽지만 속은 단단한 외유내강의 무술을 펼친다.

③ 개방 – 항룡십팔장

대부분의 거지들은 개방의 식구로 속해있기 때문에 인원이 많아서 정보 수집 능력이 뛰어나며 개방의 방주는 타구봉과 타구봉법, 항룡십팔장을 전수받는다.

④ 아미파 – 복호권

중국 사천성의 아미산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문파로 여자들만 있는 조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정숙하고 무공이 강한 여성에게 문주의 자격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⑤ 화산파 – 매화검법

천하제일 신검으로 불리던 조일화가 구대 문파를 화산파 아래로 두려다가 죽임당하고 이 사건 이후로 종남파의 최대 숙적이 된다.

⑥ 곤륜파 – 운룡대팔식

검법으로 유명한 문파로 곤륜산맥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중원과의 거리가 멀어서 무림의 일에는 좀처럼 간섭하지 않지만 마교와 많이 대립한다.

⑦ 종남파 – 유운검법

전진교의 후예로 알려진 종남파는 무협소설에서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문파는 아니기 때문에 화산파의 라이벌이나 악역으로 등장하는 일들이 많다.

⑧ 공동파 – 복마검법

중국에서는 쓰는 무공이 동귀어진의 절초, 안귀동도만 주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서는 초식의 흐름이 과격한 복마검법을 사용한다는 설정이 존재한다.

⑨ 점창파 – 사일검법

주로 검법을 사용하지만 상대방의 혈도를 찍는 점혈법에 능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아무래도 운남의 점창산이 중원과 거리가 멀어서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⑩ 청성파 – 칠십이파검

청성파가 위치를 두고 있는 청천산은 역사적으로 도사들이 은거를 하면서 수련한 곳이기 때문에 정통성과 신비로움을 가지고 있는 문파라고 할 수 있다.

2. 이외

소설을 쓰는 사람에 따라서 구파일방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래에서 소개하는 문파는 명문으로 평가받지만 9파 1방에 속하지 않는다고 본다.

① 형산파 – 원고검법

최고의 무공은 오로 검법이며 예전에는 무협지에 종종 등장하는 명문으로 평가받았지만 요즘에는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많을 정도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② 해남파 – 남해삼십육검

중원의 검법과 다르게 검날을 기울여서 휘두르고 빠른 쾌검을 구사하는 문파로 중국이나 대만에서는 구파일방에 속하지만 한국에서는 외지 무림 세력으로 취급받는다.

③ 숭산파 – 수미전단검법

소림사 아래에 위치한 문파이기 때문에 다루지 않거나 잠시 소개되는 경우가 많은 문파로 악인이라 평가받는 인물들이 많은 편이다.

④ 태산파

오악검파중 하나, 구파일방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구무협 시대 이후부터는 입지가 낮아지고 있으며 대표 무공은 알려진 것이 없다.

⑤ 항산파 – 복룡검식

자신이 사용할 무기를 대장간에서 직접 만드는 전통이 있는 문파로 한국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기 때문에 무협지 매니아가 아니라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⑥ 황산파 – 무영검

중국의 사기에 기록된 황제가 있었던 환산에 위치한 문파로 어느 정도 규모가 있기 때문에 구파일방에 끼는 경우도 있지만 화산파와 이름이 비슷해서 그런지 비중은 없다.

⑦ 모산파 – 방술

상청파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문파로 정통 도교의 일파로 평가받는 동시에 사파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으며 무공보다는 주문과 법술, 진법에 조예가 깊다.

⑧ 전진교 – 선천공

도가 문파들의 시초로 평가받는 전진교는 팔선 중의 한 명인 여동빈이 기초를 세우고 도사 왕중양이 세운 문파로 멸문 직전의 상황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⑨ 장백파 – 심음신공

중원을 벗어난 외지에 있는 세력이지만 드물게 종남파를 대신하여 구파일방에 들기도 한다. 암기와 음공이 뛰어나 어두운 분위기를 낸다.

⑩ 보타문 – 모니연화검

불교계 문파 보타문은 보타산의 관음보살 성별이 여인이라는 전설로 무협지에서는 아미파와 함께 여승들의 문파로 취급되며 문파의 최고수는 검후로 불린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