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이 부족한 사람을 욕하는 단어 – 바보 멍청이, 백치, 천치 뜻과 의미

0
8304

인터넷의 발전으로 다양한 비속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제는 욕처럼 사용하지 않는 단어지만 무언가 부족한 사람을 보면 바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을 빗대어 놀리는 단어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을까요?

바보

바라봐도 보고 싶은 사람, 바다의 보배

바보는 밥만 축내는 보잘것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지적 장애가 있어서 일을 하지 못하지만 밥만 축낸다는 의미로 사용했기 때문에 장애를 가진 사람을 비하하는 단어로 볼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그보다 심한 욕이 많기 때문에 순진하고 어리숙한 사람을 놀리거나 연인 사이에도 사용하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별명도 바보 노무현으로 친근하게 부를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멍청이

유의어 : 멍텅구리, 못난이, 철부지

바보 멍청이, 백치, 천치 뜻
바보 멍청이, 백치, 천치 뜻

눈치가 없는 사람에게 바보, 멍청이라고 귀엽게 놀릴 때 사용하며 어리석고 정신이 온전치 못한 사람으로 바보와 같은 의미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백치

白癡 : 지능지수 IQ가 25 이하인 사람

뇌에 장애가 있어서 지능이 낮은 사람을 일컫는 단어로 과거에는 욕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천진난만하고 눈치가 없지만 매력적인 사람을 백치미가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남자들은 부담 없이 다가갈 수 있기 때문에 백치미가 있는 여성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치

天癡 : 하늘도 모르는 어리석은 자

염상섭 작가의 모란꽃 필 때라는 작품에서는 눈치가 없는 사람을 보고 눈치코치도 없는 천치라고 표현했는데 천치는 바보나 백치보다는 순화된 단어입니다.

등신

等神 : 다양한 재료로 만든 사람의 형상

나무나 돌, 흙, 쇠 따위의 재료를 사용해서 만든 사람의 형상을 등신이라고 하기 때문에 과거에는 생각이 없는 사람을 낮잡아 보면서 등신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했습니다.

먹통

지능이 낮은 사람이나 특성을 가진 물건

과거 먹통은 바보, 멍청이를 놀리는 명사로 쓰였지만 최근에는 전자기기 같은 물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먹통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합니다.

띨띨이

자신의 몫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어리숙함

통영 지방에서 칠칠맞은 사람을 보고 띨띨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바보는 아니지만 행동이 굼뜨거나 자신이 맡은 일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얼간이

됨됨이가 바르지 못하고 부족한 사람

세 얼간이라는 인도의 코미디 영화도 있는데 소금에 절이는 것을 ‘얼간’이라고 하기 때문에 제대로 절여지지 못하고 대충 간을 맞춘 사람이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여기까지 조금은 귀엽게(?) 생각할 수 있는 비속어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바보와 비슷한 단어를 최근에는 비속어보다는 스스로 반성하거나 겸손한 성격을 의미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너무 나쁘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 거라 생각합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