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를 보다 보면 지록위마라는 고사성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 단어가 등장하게 된 유래와 뜻을 살펴보면 현재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모습을 지록위마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록위마의 뜻과 유래, 그리고 예문을 통해서 언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록위마
손가락 지(指), 사슴 록(鹿), 할 위(爲), 말 마(馬)
사슴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말이라고 하는 모습을 뜻하는 말로 본인의 이익을 위해 옳고 그름을 바꾸거나 윗사람을 속이고 자신의 마음대로 권력을 휘두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래

진 시황제가 세운 통일국가 진나라에는 환관이자 조나라의 왕족인 조고라는 사내가 있었는데 그는 간사한 세치혀로 권력을 잡고 진나라를 망하게 만드는데 일조한 사람이다.
시황제가 죽자 조고는 장남인 부소와 명장 몽염에게 자결을 명하는 유서를 만들어서 두 사람을 제거하고 승상 이사와 함께 진시황의 어리석은 아들 호해를 황제로 즉위시킨다.
조고는 호해의 뒤에 숨어서 자신과 뜻을 같이했던 이사와 함께 원로 중신을 제거하고 나중에는 승상의 자리에 올라서 권력을 남용하며 황제의 자리에 오르려는 시도를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조고는 신료들이 자신을 따를지 시험하기 위해 사슴을 잡아서 호해 앞에다 두고 좋은 말을 구해왔다고 이야기한다.
조고 : 제가 폐하를 위해서 좋은 말을 대령했습니다.
호해 : 아니 승상은 어찌 사슴을 말이라고 한단 말이오?
조고 : 아닙니다 분명히 제가 볼 때는 말 같아 보입니다.
호해 : 허허 그렇다면 다른 신료들의 생각은 어떠하오?
이에 신료들은 조고의 보복이 두려워 말이라고 하거나 침묵하는 사람들, 사슴이라고 말하는 부류가 있었는데 조고는 신료들의 반응을 살피고 자신에게 해가 될 것 같은 사람을 기억했다.
이후 조고는 자신의 말에 동조하지 않고 사슴이라고 말했던 사람에게 죄를 씌워서 숙청하기 시작했고 이를 지켜보던 신료들은 조고의 말을 거역하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호해의 사치를 위한 수탈이 지속되자 백성들의 민심이 나빠지고 진승 · 오광의 난을 시작으로 진나라는 혼란스러운 상황 빠지는데 조고는 호해가 알지 못하도록 사실을 숨긴다.
꼬리가 길면 밟힌다는 말처럼 결국 의심을 사게 되면서 사위 염락을 시켜서 호해를 암살하고 나라를 침략한 유방에게 항복해서 진을 넘기고 자신은 조나라의 황제가 되려고 한다.
하지만 유방은 조고를 믿지 않았기 때문에 조고는 진시황의 다른 혈육이 필요했는데 이에 부소의 아들 자영을 황제로 옹립하려고 하였으나 거절당하고 자영의 부하 한담에게 목숨을 잃는다.
그리고 자영은 45일 동안 저항을 하다가 유방에게 항복했지만 진나라에 의해서 조국을 잃은 항우가 함양을 불태우고 자영을 비롯한 진나라 왕족을 모두 멸족하고 만다.
이렇게 조고가 황제인 호해를 농락하고 자신의 권세를 휘두르기 위해 사슴을 말이라고 하는 상황을 가리켜 지록위마라는 고사성어가 탄생하게 되었다.
예문
거짓말과 궤변이 가득한 정치인들의 모습은 지록위마와 같다.
조국 사태를 둘러싸고 지록위마라는 말을 실감하게 되었다.
일부 기자들은 진실을 속이기 위해 지록위마 같은 기사를 쓴다.
지록위마의 대표적인 사례는 북한의 화전양면전술을 들 수 있다.
지록위마라고 비판하는 사람도 같은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정치 관련 뉴스를 보면 매번 고사성어 지록위마가 떠오르기 때문에 조금은 진실된 정치인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에게 유익한 내용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