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직급 순서 – 연구소 직위, 직책

최근에는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위해 직급이 없는 회사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필요에 따라서 직원의 경력, 능력에 따라서 직급을 구분하고 있다.

여기서 임원을 제외하고는 크게 5가지로 직급체계를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직이 아닌 연구직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직급은 기업마다 차이가 있으며 사기업에서는 정부출연연구관보다 체계화된 직급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일반적인 회사 직급뿐만 아니라 연구소를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기업에서 사용하는 연구원 직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일반직

1. 인턴

인턴은 일정 기간 일을 배우는 단계로 수습사원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인 인턴은 정식으로 입사한 것이니라 전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채용한다는 차이가 존재한다.

2. 사원

정규직으로 회사를 입사하면 처음으로 갖게 되는 직급으로 사원으로 부르기보다는 이름을 부르거나 XX 씨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3. 주임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의 경우 사원에서 바로 대리로 진급하지만 규모가 큰 회사는 주임이라는 직급이 있는데 1~2년 동안 경력이 쌓이면 주임을 달아준다.

4. 대리

스스로 판단하고 일을 할 수 있는 직급으로 일반적으로 대학교를 졸업하고 입사한 사원이 3~5년 정도 직장 생활을 하면 대리로 승진하게 된다.

5. 계장

2000년대 들어서 자주 쓰이지 않는 직급으로 외국 사기업에서는 지금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은행에서는 행원과 대리 사이의 실무자를 계장이라고 한다.

6. 과장

대리에서 4년 이상 일하면 달 수 있는 직급으로 일반 사기업에서는 중견급 실무자, 중간 관리직을 말하지만 공무원에서는 상당히 높은 직위에 해당한다.

7. 차장

공무원으로 비교하면 5급 공무원 정도에 해당하는 위치로 실무자에서 관리자로 가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장(長) 다음으로 가는 직위로 본다.

8. 부장

회사의 규모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보통 20~20명 정도의 사람을 관리하는 사람으로 지사장, 공장장, 수석연구원, 지점장 등이 비슷한 위치의 직책이다.

9. 이사

임원중에서는 가장 낮은 직급으로 군대 계급으로 비교하면 대령에서 준장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이사는 정년이 없지만 실적이 없으면 회사를 나와야 한다.

10. 상무

처음 이사로 진급하고 어느 정도 능력을 인정받으면 상무로 진급을 하는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에서는 준대형 세단 차량을 지급한다.

11. 전무

사장과 부사장을 보좌하며 회사일을 총괄하는 위치로 군대로 치자면 소장(투스타) 수준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사원에서 전무까지 진급하는 경우는 0.01% 미만이다.

12. 부사장

군대로 비교하면 중장(쓰리스타) 정도의 위치로 중소기업, 중견기업의 경우 대부분 친인척이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평사원으로 부사장 달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13. 사장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는 가장 높은 위치를 의미하지만 대기업에서는 사장 직급을 가진 사람들이 여럿 있으며 자영업을 하는 사람을 높여 부를 때는 사장님이라고 부른다.

14. 부회장

규모가 큰 회사의 경우 여러 명의 사장이 일을 하는데 이 중에서 가장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을 부회장으로 임명하며 대부분 회장의 후계자가 자리를 차지한다.

15. 회장

누구나 알만한 기업의 최고 권력자로 우리나라에서는 외국 대기업의 CEO를 회장이라고 하는데 자신의 위치를 다음 사람에게 넘겨주고 나면 명예회장이 된다.

R&D

직급
직급

1. 연구원 보조

입사하고 처음 1년은 연구원 보조로 별도의 직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등학교만 졸업한 사람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연구원 보조라는 직책을 쓴다.

2. 연구원

일반 기업에 입사한 사람의 직급은 사원으로 시작하지만 연구직에서 일하는 사람은 연구원부터 시작한다.

3. 주임연구원

주임 ~ 대리 정도의 위치에 있는 직급으로 위치가 애매하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는 주임 연구원이 없는 경우도 있다.

4. 전임연구원

대리 ~ 과장 정도의 위치에 있는 직급으로 어느 정도 경력 있는 구간이지만 주임 연구원과 마찬가지로 해당 직급이 없는 경우도 있다.

5. 선임연구원

대학교를 졸업하고 경력이 6년 이상인 사람이 해당하는 직급으로 일반직에서 차장급 수준이기 때문에 실무와 인원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책임연구원

부장급 수준의 직급으로 선임급 직원들을 통솔하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7. 수석연구원

연구원에서 가장 높은 직급, 부장 ~ 실장 정도의 위치로 임원급에 비교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경력 10년 이상 석사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