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협 / 偏狹 / Intolerant
정치 관련 뉴스를 보면 편협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여기서 ‘편협’은 한쪽으로 치우치고 마음이 좁은 사람을 의미한다.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할 때 본인의 주장도 중요하지만 남의 의견을 수용할 줄도 알아야 하는데 편협한 사람은 자신의 말만 옳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누군가에게 편협한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은 자기주장만 하는 속 좁은 사람이라고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의하는 게 좋다.
그렇다면 편협하다는 말은 어떤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편협하다의 자세한 뜻과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개요
네이버 사전에서 편협은 한쪽으로 치우쳐 도량이 좁고 너그럽지 못한 성질이라고 한다.
이를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면 자신의 생각이 맞다고 생각하여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지 못하는 속 좁은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편협한 사람들은 타인을 배려하기보다는 본인의 입장에서만 생각하기 때문에 인간관계가 매끄럽지 못하고 신경질적인 모습을 많이 보여준다.
2. 특징

- 한쪽으로 치우친 사고방식을 가짐
- 마음이 좁고 너그럽지 못하다.
-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만 해석한다.
- 속이 좁아서 타인을 포용하지 못함
- 편견을 가지고 있어 남에게 적대적임
- 본인의 주장이 맞다고 억지를 부림
- 결과에 승복하지 않는다.
- 자신의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한다.
- 다른 사람의 의견을 지지하지 않음
- 극단적인 태도로 사람들에게 강요한다.
- 모르는 지식도 아는 것처럼 꾸민다.
- 지식의 깊이가 낮고 생각이 단순하다.
- 불안한 성질이 강한 편이다.
3. 예시
① 그의 편협하고 오만한 모습을 보고 사람들을 떠나갔다.
② 사고방식이 편협한 사람은 세상을 넓게 보지 못한다.
③ 편협한 독서습관 때문에 집에 비슷한 책만 가득하다.
④ 나의 편협한 사고방식 때문에 사업이 망한 것 같다.
⑤ 그때는 내가 너를 편협하게 생각했어 미안하다.
⑥ 팀이 못해서 졌네, 게임을 할 때는 누구나 편협해진다.
⑦ 일부 종교는 편협하지만 남을 위한 이타성을 가진다.
⑧ 보수적인 사람들은 개방적인 사람을 편협하게 생각한다.
⑨ 나와 반대되는 사람은 적이라는 편협한 사고방식은 버리자.
⑩ 편협된 단일민족 인식은 인종차별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나이가 들면서 예전에 했던 행동을 되돌아보면 스스로 얼마나 편협한 시선으로 주변 사람을 판단하고, 생각했는지 깨닫고 반성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누구나 편협한 사고방식을 갖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 타인을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