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피성 성격장애(인격장애)원인과 증상 – 진단 테스트 기준, 치료 방법

0
10496

100명의 사람이 있다면 그중에 3명은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주변 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싶지만 거절하거나 거부하는 것에 대한 두려운 감정 때문에 정상적으로 대인관계를 맺기가 힘듭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지나치게 방어적인 경우가 많은데 상처를 받는 상황을 생각하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항상 자신을 숨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놓습니다.

DSM-5 진단기준

스스로 인간관계를 억제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남들이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생각에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겪게 됩니다.

회피성 성격장애 원인과 증상
회피성 성격장애 원인과 증상
  • 사회생활을 하면서 남에게 비난받거나 거절당하고, 인정받지 못하는 게 두렵기 때문에 사람을 접촉하는 직업을 피하는 경우가 많다.
  • 새로운 사람들과 만남을 갖기가 어렵고 상대방이 자신에게 호감이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면 관계를 맺기를 어려워한다.
  •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사이가 좋아져서 자신을 놀리는 경우 수치심을 느끼고 참기 어려울 것 같기 때문에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한다.
  • 자신을 매력이 없는 사람으로 평가하고 남들보다 열등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새로운 대인관계를 형성하기가 더 어렵다.
  • 혹시나 당황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일까 봐 불안해서 주변 사람들의 일에 관여하거나 새로운 도전을 하는 행위를 마지못해서 하는 경우가 많다.

회피성 성격장애의 특징이 발생하지 않은 잠재적인 문제를 고민한다는 점인데 지나치게 과장해서 생각하기 때문에 새로운 시도를 하기 어렵고 쉽게 상처를 받습니다.

사회공포증 비교

사회공포증(대인기피증)은 다른 사람과 만나기를 꺼려 하고 회피하는 경우를 말하지만 회피성 성격장애는 잘 지내고 싶지만 소심한 성격 때문에 대인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반복되고 대인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면 부정적인 생각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자존감이 떨어지고 차라리 혼자 고립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 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성격을 보면 수줍음이나 부끄러움을 많이 타고 민감한 경우가 많은데 어린 시절 친구나 부모로부터 자주 거절을 당하는 것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치료하는 방법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서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환자가 의사와 친밀한 감정이 쌓이지 않아서 마음을 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아래와 같은 노력이 도움이 됩니다.

  • 치료 담당자에게 거절당할 거라는 생각을 버린다.
  • 같은 증상을 겪는 환자들과 집단 치료를 진행한다.
  • 회피성 장애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 고민해 보자.
  • 불편한 상황이나 경험을 되돌아보면서 생각하자.
  • 자신에게 문제가 있는 부분을 고치려고 노력한다.
  •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설정한다.

회피성 성격장애를 고쳐야 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의 눈에는 이기적인 사람으로 비치는 상황이 많기 때문인데 두렵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에게 중요한 내용을 어설프게 전달하고 문제가 생기면 비판을 받지 않기 위해서 남을 탓하거나 책임을 떠넘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회피성 성격장애 치료는 오랜 기간이 필요합니다.

자신을 아끼지 않는 사람은 남을 사랑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먼저 나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자신의 일에 책임을 지려는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