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 관련주 22선 – 비대면 헬스케어 주식 정리

0
6243

유 헬스케어(u-Healthcare)는 통신 기술을 활용해서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고령화 시대가 오면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 헬스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대상의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분들의 경우 수시로 건강을 체크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어서 좋다.

다만 개인 정보를 침해하거나 통신오류로 인한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식들은 부모의 건강에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전화도 안 하고 방치하는 모습을 보일지도 모른다.

다양한 문제가 존재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를 목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1. 관련주

정보통신, 의료, 인증 시스템, 법적 제도 등 다양한 분야가 접목된 기술이기 때문에 u-Healthcare 관련 종목이 많지만 증권사에서 인정하는 기업만 정리해 보자.

헬스케어

1) JW중외제약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 뿐만 아니라 500여 개에 달하는 의료기기와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는 기업으로 혈우병 치료에 필요한 헴리브라를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렇게 광범위한 약품을 판매할 뿐만 아니라 삼성의 헬스케어 사업 첫 제품인 혈액검사기를 독점으로 판매한 실적도 있기 때문에 원격진료 관련주로 분류되는 모습이다.

2) 나노엔텍

하나의 칩 위에 실험실을 올려놓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랩온어칩 기술을 통해서 현장진단 의료기기와 생명공학에 필요한 연구기기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업이다.

SK텔레콤의 자회사로 미국의 의료 과학 기구 업체 써모피셔와 펄킨엘머사에 연구기기를 납품하고 있으며 꾸준히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하며 중국에 진출하게 되었다.

3) 네오펙트

AI, IoT 기술을 적용하여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으로 몸이 불편한 환자들의 재활훈련을 위한 의료기기와 콘텐츠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기업이다.

네오펙트의 라파엘 스마트 재활솔루션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서의 수요도 증가하면서 매출이 증가 추세에 있지만 그만큼 손실도 늘어나서 위태로워 보인다.

4) 녹십자홀딩스

생명공학, 헬스케어 관련 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지주회사로 자회사 ㈜녹십자를 필두로 30개가 넘는 법인 계열사를 운영하는 중이다.

그 중 녹십자헬스케어는 U-Healthcare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KT와 함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사업화를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5) 마크로젠

오랜 시간 유전체 분석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LG생명과학과 함께 개인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맞춤치료 시장을 진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장기간 쌓아온 데이터와 기술력이 있기 때문에 진단기기 시장에 진출하려고 하지만 경영진의 능력 부족 때문인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중이라 아쉽다.

6) 메디포스트

국내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제대혈은행 사업자로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고 줄기세포를 통한 무릎 퇴행성관절염, 기관지폐이형성증,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다.

메디포스트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전문 기업 에임메드는 정부의 U-Health 시범 사업자로 선정되고 방문요양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7) 뷰웍스

의료용 디텍터 시장점유율 8% 수준을 유지하며 4위를 기록하고 있는 뷰웍스는 디지털 영상 촬영에 필요한 장비를 개발하고 공급하는 이미징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뷰웍스가 원격진료 관련주에 이름을 올린 이유는 후공정에 사용되는 고해상도 VNP 시리즈가 국내 산업용 카메라 시장의 25% 정도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8) 비트컴퓨터

스마트 의료 분야가 성장을 하면 비트컴퓨터가 주목받는데 의료 정보시스템의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비트컴퓨터는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EMR(전자의무기록), OCS(처방전달 시스템), PHR(개인 건강관리) 기능을 갖춘 비트플러스를 출시하고 판매하는 중이다.

9) 소프트센

서버/스토리지, 프로세서 솔루션과 유지 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병원정보 시스템 클라우드를 구축해 주는 운영사업을 수주하고 있다.

소프트센은 대구광역시에서 진행하는 데일리 헬스케어 실증 단지 조성 사업에 참여했으며 국가 암 데이터 구축 사업을 수주해서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중이다.

10) 이스타

국내 최초, 세계에서 5번째로 MALDI-TOF 질량분석기 IDSys LT를 개발한 기업으로 이를 통해 암을 비롯해서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동물 의료분야까지 진출한 모습이다.

여기서 산업기술평가관리원 국책과제에 선정되어 OLED 유기소재 구조 및 안전성 분석을 위한 질량분석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3D 분석 장비까지 생산 영역을 넓히게 됐다.

11) 오스템임플란트

치아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 턱뼈에 티타늄 나사를 박아서 치아를 대체하는 보철물을 임플란트라고 말하는데 오스템임플란트는 세계 판매량 1위를 기록하는 중이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오래전부터 아날로그 방식이 아니라 디지털 융합 기술을 적용한 인공치아 치료지원 시스템을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정부에서 지원금을 받기도 했다.

12) 유비케어

국내 요양기관 EMR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으로 전국에 25,000여 개의 병의원/약국과 전국 법인을 아우르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유비케어는 건강관리 업무를 도와주는 솔루션 어플을 개발하고, 감염성이 높은 질병에 걸린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

13) 이지케어텍

대형병원을 핵심 고객으로 의료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주고 유지 보수를 해주는 기업으로 다양한 분석과 솔루션 기술을 제공하면서 환자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지케어텍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주관하는 EMR 시스템, 20년 전자의 무기록 시스템 인증기준 표준 개발 및 확산 지원의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14) 인바디

체성분 분석기를 주요 제품으로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업으로 인바디검사 결과를 인용한 다양한 논문과 자료를 통한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SK건설은 체성분 분석 세계 1위 기업인 인바디와 손을 잡고 건강 상태를 진단받고 운동, 식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주거공간 홈 IoHT 랩’을 오픈했다.

15) 인성정보

시스템을 통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된 인성정보는 현재 IT 인프라 사업과 헬스케어 사업을 진행하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ERP 컨설팅을 운영한다.

인성정보는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니지의 비디오 API를 선택하고 원격진료가 가능한 하이케어 허브, 하이케어 홈닥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6)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용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유지 보수해주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PACS를 통해서 의료기기에서 획득한 영상을 디지털로 저장하고 전송 관리 해준다.

그리고 서울대병원과 함께 개발한 방사선량 관리 시스템 INFINITT DoseM 은 유럽 시장에서 판매가 증가하는 중으로 독일 시장점유율 2위를 기록하는 중이다.

17) 제이엘케이

인공지능 의료 솔루션을 개발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식약처 3등급 허가와 보건 신기술(NET) 인증을 받아서 코스닥 기업 중에서는 독보적인 위치에 서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산업은 4차 산업혁명에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은 긍정적으로 보는데 보유하고 있는 특허 기술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궁금하다.

18) 차바이오텍

세포 치료제 연구, 줄기세포를 보관사업,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종합 의료업체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종속기업을 두고 있다.

헬스케어 정책 이슈가 떠돌면 주목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사진 중에서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삼성 임원 출신이며 차움이라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19) 케어랩스

옐로모바일의 자회사가 통합되어 설립된 기업으로 미디어 플랫폼, 디지털마케팅, IT 솔루션을 주요 사업으로 진행하며 국내 헬스케어 플랫폼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케어랩스가 운영하고 있는 앱 ‘굿닥’은 병원과 약국 위치를 알려주는 동시에 원격진료, 처방전 요청, 진료비 수납이 가능하며 건강기능식품 추천 서비스를 론칭하기도 했다.

20) 테라이젠텍스

유전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 및 진단, 신약개발, 빅데이터 등을 관리하는 기업으로 유전체 업계에서는 세계 최초로 개인정보보안 인증 ‘ISO27701’를 획득했다.

테라젠이텍스는 개인의 유전형을 확인해서 건강 상태를 진단할 뿐만 아니라 병에 걸리기 전에 특정 질환이나 위험인자를 찾아내는 헬로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21)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의약품을 제조하는 재생 바이오 전문 기업으로 자가 재생을 촉진하는 물질 PDRN/PN의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원재료부터 완제품까지 국산화에 성공했다.

PDRN 및 PN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고 있는데 의약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로 적용 범위를 확장하는 중이다.

22) 휴비츠

안광학 의료기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업체로 이에 필요한 자동 검안기, 렌즈 가공기, 시력 진단기, 리플렉터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중이다.

때문에 시력 관련하여 U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휴비츠를 대장주로 생각할 수 있는데 그보다 3D ATI 개발로 산업용 검사 장비 분야에 신경을 쓰고 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