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도 있지만 개인의 개성에 따라서 요구하는 것이 다를 수 있는데 이를 보고 니즈(Needs)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니즈는 인간이 생존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사회적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개념이다.
그래서 기업이 물건을 판매하기 위해 마케팅을 하는 경우 소비하는 사람들이 어떤 것을 원하는지 어떤 니즈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번 시간에는 기업과 소비자 입장에서 보는 니즈에 대해서 정리하고 어떤 방법으로 니즈를 분석할 수 있는지,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자.
1. 생리적 욕구
인간이 살기 위해 꼭 필요한 의식주, 산소, 수면 등 원초적인 것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생존을 위한 니즈라고 말할 수 있으며 성욕도 포함된다.
그래서 잠이 잘 오는 침대, 맛있는 음식, 착용감 좋은 콘돔처럼, 특별하게 머리를 쓰고 니즈를 파악할 필요 없이 단순하게 생각하면 된다.
2. 안전 욕구
생리적인 욕구가 모두 충족된 상황에서는 신체적인 위험을 걱정하는 동시에 현재 생활을 계속 유지하고 싶다는 욕구를 느끼게 된다.
인간은 누구나 위험한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려고 하기 때문에 호신용 무기로 위협을 막거나 안전을 보장받고 싶은 마음이 든다.
3. 소속감, 애정 욕구
다른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거나 사랑하고 받고 싶어 하는 욕구로 이를 충족시켜주거나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곳들을 선호한다.
길드 시스템을 적용한 게임은 소속감을 통해서 더욱 현질을 유도하고 소개팅앱은 애정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니즈를 파악한 것이다.
4. 존중 욕구
사회적으로 위치가 있는 사람들은 주변의 존중을 받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도 있는데 인간은 누구나 인정을 받고 지위를 얻고 싶은 욕구를 가진다.
고급 호텔이나 음식점에 있는 종업원들이 깔끔한 유니폼이나 정장을 입고 있는 이유는 고객을 존중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5. 자아실현 욕구
자신을 발전시키고 더욱 성장하고 싶어 하는 욕구로 어려운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열심히 운동을 해서 멋진 몸을 만드는 등의 결과를 원한다.
대학교들이 취업률 90% 이상을 광고하는 이유도 자아실현 욕구를 위한 것이며 자격증 학원, 헬스장 같은 곳들은 이런 니즈를 잘 파악해야 한다.
6. 인지적 욕구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 새로운 생각을 하는 것을 즐기고 이를 통해 만족감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런 사람들을 대상으로 니즈를 파악한다면 전문적인 기술, 신기술 도입처럼 관심을 갖거나 만족감을 느낄만한 포인트를 찾는 것이 좋다.
7. 심미적 욕구
질서와 안정, 아름다운 것들을 추구하는 마음으로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는 말을 생각하면 어떤 니즈를 말하는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명품관, 인테리어 매장, 옷 가게 뿐만 아니라 슈퍼의 경우에도 물건이 깔끔하게 정리해 놓으면 소비자들의 눈길을 잡고 기분을 좋게 만든다.
특정한 타깃을 설정하고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면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 대중적인 선호도를 통해서 파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제품의 외형이나 품질, 맛보다는 광고하는 사람에 따라서 소비자의 반응이 달라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 부분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무쪼록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분들이 개인의 센스와 판단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 대중의 생각은 어떤지 생각하고 분석했으면 좋겠습니다.